
택시나 구급차에 부착된 요금미터기,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걸까요?이 장비가 조금이라도 틀어지면 요금 과다청구, 거리 오차, 불법운행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필요한 제도가 바로 “택시미터 사용검정”입니다.오늘은 이 제도가 무엇인지, 어떤 차량이 대상인지, 검정 기준과 봉인 절차, 부적합 시 처리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검사 대상 차량택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별표4에 따라 요금미터 장치가 필수로 설치된 택시구급차: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별표16의2에 따라 요금미터 장치가 설치된 구급차📌 일반 승용차는 대상이 아니며, 반드시 택시 또는 법적으로 운임계산이 필요한 구급차만 해당됩니다. 검사신청 바로가기 🔍 검사 기준 및 검정 항목구분검정항목내용구조겉모양봉인 탈락 여부, 외형 ..

수리검사란? 전손처리된 자동차 운행 전 반드시 받아야 할 검사 ✅ 수리검사란?수리검사는 전손(全損) 처리된 자동차를 수리한 뒤 도로에서 운행하려는 경우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검사입니다.여기서 말하는 ‘전손’이란, 차량이 사고 등으로 인해 수리비가 차량가액을 초과해 보험사에서 폐차 처리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단, 정기검사·종합검사·튜닝검사·임시검사·신규검사 등에서 불합격 판정 후 재검사 받는 경우는 수리검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검사신청 바로가기 🚗 검사 대상「보험업법」 제2조에 따라 보험사가 전손처리한 차량보험사 기준에 따라 폐차 대상이었지만, 차주가 직접 수리 후 재운행을 희망하는 자동차📍 이런 차량은 반드시 수리검사를 통과해야만 도로 주행이 법적으로 허용됩니다. 🔍 검사 기준 및 항목수리..

임시검사란, 특정한 사유가 발생했을 때만 비정기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입니다. ✅ 임시검사란?임시검사는 이름 그대로, 정기검사나 종합검사처럼 주기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명령이나 신청에 의해 한시적으로 실시되는 자동차 검사입니다.이는 법적 명령(시장·군수·구청장의 지시) 또는 자동차 소유자의 요청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안전성 문제, 불법 튜닝, 차령 연장 등과 관련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검사신청 바로가기 🚗 임시검사 대상임시검사는 크게 두 가지 상황에서 실시됩니다.1. 행정기관의 명령에 의한 검사 (자동차관리법 제37조)자동차안전기준에 적합하지 않거나 안전운행에 지장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승인을 받지 않고 튜닝한 자동차중대한 교통사고가 발생한 사업용 자동차「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

자동차 종합검사 (검사대상,검사항목,노후경유차검사,검사기한) 종합검사는 배출가스 집중 관리 지역(수도권 + 6대 광역시 등)에 등록된 오래된 차량이 2년·1년·6개월 주기로 받아야 하는 고급형 정기검사다. 일반 정기검사 항목에 더해 배출가스 정밀검사가 포함돼 대기오염 물질까지 면밀히 점검한다. 검사신청 바로가기 ✅ 검사 대상「대기환경보전법」 제63조 지정 지역 등록 차량 중 차령(연식)이 일정 기준을 넘은 자동차. 아래 ‘대상지역·차령 표’ 참조.🔍 검사 항목·방법구분기준방법주요 확인안전도시규 별표 15동일구조·장치 적합, 불법 튜닝 여부배출가스대기법 별표 21대기법 별표 26CO·HC·공기과잉률·NOx·매연소음소음법 별표 13소음법 별표 15경적·배기소음 기준🛠️ 연료별 배출가스 측정휘발유·..

자동차 정기검사 검사대상,검사기준,부적합재검사 총정리! 1. 정기검사란?법적 근거: 「자동차관리법」 제43조, 「대기환경보전법」 제62조, 「소음·진동관리법」 제37조정의: 신규등록 후 일정 기간마다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의무 검사.안전도·배출가스·소음 모두 법정 기준 적합 여부를 확인한다. 2. 검사 대상「자동차관리법」에 따라 등록된 모든 운행 차량 (승용·승합·화물·특수·이륜 포함)3. 검사 기준 및 방법구분기준 근거방법 근거주요 확인사항안전도시규 별표15동일구조·장치 적합 여부, 불법 튜닝 여부배출가스대기법 별표21대기법 별표22CO, HC, 공기과잉률, 매연소음소음법 별표13소음법 별표15경음기·배기소음 기준 적합성연료별 배출가스 측정휘발유·가스·알코올: 아이들링 & 2500 ± 300rpm 공..